36. 트롤락 함락


제11사단은 슬림강 도하지점에서 일본군 진격을 4일 정도 막을 생각으로 중간지연지역을 설정했다. 중간지연지역은 2개 지구로 나뉘어졌다. 철도와 간선도로가 나란히 통과하는 트롤락 지구는 트롤락 북쪽 5.6km부터 트롤락을 지나 캄퐁슬림 북쪽 2.4km까지 총 12km 길이로 설정되었다. 슬림강 지구는 캄퐁슬림부터 동쪽으로 슬림강 다리까지 슬림강을 따라 11km에 걸쳐 있었다. 트롤락 지구는 이안 스튜어트 중령의 제12여단이 지켰는데 제3기병연대의 1개 중대, 제5/14펀자브대대, 제137야포연대, 제3공병중대, 제215대전차포대의 1개 중대가 추가로 배속되었다. 슬림강지구는 월레스 셀비 중령의 제28여단이 지켰는데 제155야포연대, 제23공병중대, 그리고 제215대전차포대의 1개 중대가 추가로 배속되었다. 탄종말림에 있는 제11사단사령부 부근에는 제80대전차연대가 예비대로 주둔했다. 모든 다리에는 폭약을 설치하여 사단사령부의 명령이 있으면 즉시 폭파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슬림강 방어선.History of The second World War, The War Against Japan, Vol.1 The Loss of Singapore. P.280)


제12여단장 스튜어트 중령은 트롤락 지구 방어선을 종심깊게 배치했다. 북쪽의 60마일이정표 지역에는 제4/19하이드라바드대대가 콘크리트로 만든 이동식 대전차장애물의 도움을 받아 전방 방어선을 형성했다. 주방어선은 제61 및 제62마일이정표 지역에 배치된 제5/2펀자브대대가 맡았다. 주방어선에는 대전차포 1개 중대가 배속되었고 대전차지뢰도 보급되었는데 숫자가 24개 밖에 되지 않았다. 당시 제11사단이 보유한 대전차지뢰는 1,400개가 넘었지만 전방으로 추진되지 않았다. 제5/2펀자브대대의 후방에는 아길대대가 배치되어 일본군이 우회하는지 감시했다. 일본군이 방어선을 무너뜨리고 트롤락 남쪽으로 진출할 경우에 대비하여 65마일 이정표 지역에 예비방어선을 설정했다. 명령이 떨어지면 캄퐁슬림 남쪽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던 제5/14펀자브대대가 북상하여 예비방어선에 배치될 것이었다. 트롤락 지구에서는 포격을 위한 시계가 불량하여 제137야포연대의 1개 포대만 배치되고 나머지 2개 포대는 슬림강 지구에 있는 클러니 고무농원에 배치되었다.

슬림강 지구를 담당한 제28여단은 캄퐁슬림과 클러니 고무농장에 방어선을 설정했으나 제11사단장 파리스 준장은 제28여단 병력들을 캄퐁슬림 남쪽의 야영지에서 좀 더 휴식시키라고 말했다. 제28여단은 명령이 떨어지면 즉시 방어선으로 이동할 준비를 하고 야영지에서 대기했다.


제12여단 병력들은 1942년 1월 4일에 방어선에 배치되어 이틀동안 방어준비에 매달렸다. 일본제3비행단은 4일부터 일본제5사단 전면에 전력을 집중시켰다. 따라서 영국군은 낮에는 일본기의 공습과 기총소사로 작업을 할 수 없어 밤에만 작업해야 했다. 일본기의 공격으로 인하여 자동차 10대가 불에 탔으나 더 큰 문제는 지속적인 공습으로 병사들이 낮에는 잠을 자지 못하고 밤에는 작업을 했으므로 피로가 누적되고 사기가 떨어졌다는 점이었다. 제5/2펀자브대대장 디킨 중령은 대대의 전투효율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고 평가했는데 제12여단 전체가 마찬가지였다. 어쨌건 6일 아침까지 병사들은 참호를 파고 대전차장애물을 설치했다.


최초의 전투는 5일 밤에 있었다. 일본제42연대 소속 2개 중대가 철도를 따라 남하하다가 트롤락 서북방 약 5km 지점에서 제4/19하이드라바드대대의 기습적인 총격을 받고 약 60구의 시체를 남긴 채 물러났다. 캄파르에서 남하한 피난민이 6일 오후에 일본군의 탱크 수십대가 간선도로를 따라 진격 중이라는 정보를 전했다. 이 정보는 제11사단과 제12여단에는 전달되었으나 제28여단에는 전달되지 않았다.


제42연대장 안도 타다오 대좌는 전력을 가다듬어 본격적인 공세를 가했다. 6일 저녁에 제1대대가 동쪽의 간선도로, 제2대대가 서쪽의 철도를 따라 남하하여 자정을 막 넘긴 7일 새벽에 동시에 제4/19하이드라바드대대를 공격했다. 오전 3시 30분에 일본전차가 트럭에 탄 보병과 함께 가세했다. 일본군은 대전차장애물을 제거하고 하이드라바드대대의 선두 중대를 섬멸했다. 트롤락 지구 내에는 전쟁 전에 간선도로를 직선화하면서 사용하지 않는 원형 우회로 3개가 생겼다. 일본군이 가장 북쪽의 우회로를 찾아내어 하이드라바드대대를 포위하려 했다. 하이드라바드대대는 포위를 피하기 위하여 철도를 따라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이 과정에서 하이드라바드대대의 병사들은 거의 흩어졌다.


일본군은 전차를 앞세우고 간선도로를 따라 남하했다. 7일 오전 4시 30분에 선두 전차가 61마일이정표 바로 앞에서 제5/2펀자브대대가 깔아놓은 대전차지뢰를 밟았다. 이를 신호로 영국군의 대전차포가 사격을 가하여 일본전차 3대를 추가로 파괴했다. 일본군은 멈칫했으나 곧 2번째 우회로를 찾아서 방어선을 뒤에서 덮쳐 붕괴시켰다. 일본군은 다시 남하하여 800m 후방의 방어선을 덮쳤다. 대전차포가 없던 펀자브대대의 2번째 방어선은 곧 무너졌다. 일본군은 이어 펀자브대대의 예비중대를 노리고 남하하다가 62마일이정표 바로 앞에서 선두전차가 다시 대전차지뢰를 밟으면서 진격을 멈추었다. 예비중대에 배속된 대전차포 2문이 포탄을 2발씩, 총 4발을 쏘아 1발을 명중시킨 후 아길대대 지역으로 후퇴했다. 여기에 더하여 예비중대의 대전차총이 전차 1대의 캐터필러를 끊었다.

제5/2펀자브대대본부와 예비중대는 일본군 주력과 격전을 벌여 1시간 동안 저지했다. 그러나 일본군은 마지막 우회로를 발견하여 펀자브대대의 잔여병력을 포위했다. 가까스로 일본군의 포위망을 탈출하는데 성공한 소수의 펀자브대대원들은 일본군의 추격을 피하여 정글로 들어가 남동쪽에 있는 슬림강다리 쪽으로 도망쳤다. 이제 일본군은 제2아길대대가 지키는 트롤락을 향하여 남하했다. 제2아길대대가 필사적으로 트롤락 북방에 대전차장애물을 설치하는 동안 제5/14펀자브대대는 대전차포 1개 중대와 함께 65마일이정표를 향하여 북상했다.


오전7시에 전차를 앞세운 일본군이 트롤락 북쪽에서 급조한 대전차장애물을 만났으나 간단히 치워버리고 계속 전진했다. 잠시 후 일본군은 도로 방책을 만났다. 주변에 매복 중이던 영국군 대전차총과 브렌건캐리어가 공격했으나 일본전차는 브렌건캐리어를 순식간에 전멸시킨 다음 방책을 뚫고 지나갔다. 다가오는 일본전차를 본 아길대대가 트롤락 다리를 폭파하려 했으나 이마저도 실패했다. 일본전차는 유유히 다리를 건너 남쪽으로 사라져 버렸다. 일본전차의 돌파를 허용하자 아길대대 병력 중 철도에 배치되어 있던 병력은 캄퐁슬림을 향하여 남쪽으로 철수했다. 간선도로 주변에 배치되어 있던 병력들은 일본전차가 지나간 후 트롤락 다리를 지키기 위하여 다시 집결했으나 오전 9시에 일본군 추가 병력이 전차를 앞세우고 트롤락에 도착하자 전투를 포기하고 정글로 들어가 남동쪽의 슬림강다리쪽으로 도망쳤다.


트롤락을 통과하여 남쪽으로 달리던 일본전차대는 오전 7시 30분에 캄퐁슬림에서 1.6km 정도 북쪽에서 북상중이던 제5/14펀자브대대를 정면으로 덮쳤다. 앞장선 2개 중대가 순식간에 붕괴하면서 병사들이 흩어졌다. 뒤따르던 2개 중대는 고무농원으로 도망쳐서 가까스로 붕괴를 면하고 도로 주변에 방어선을 폈으나 얼마 후 전차를 앞세운 일본군 추가 병력에 의하여 쫓겨났다. 펀자브대대에는 제28여단으로부터 배속받은 대전차포 1개 중대가 있었으나 방열할 시간이 없었다.

이로써 트롤락 방어선은 무너졌다.

Posted by 대사(PW)
,